본문 바로가기

Miscellaneous

💊 트럼프, 의약품 관세 추진…한국 바이오 업계 ‘긴장 고조’

728x90

📌 “메이드 인 USA” 외치며 수입 의약품에 25% 고율 관세 예고
📌 한국 정부, 공식 반대 의견서 제출…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비상’


🧭 트럼프, 의약품까지 관세 부과 예고…그 배경은?

2025년 5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 자국 생산 확대’**를 명분으로 수입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발표된 이 계획은, 중국산 의약품뿐 아니라 한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수입되는 약품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 세계 제약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은 수십 년간 외국 제약사들에게 갈취당해 왔다”며, 미국 내 제조 부흥과 고용 창출을 위한 “애국적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그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경제 전략의 연장선으로 해석됩니다.


🇰🇷 한국 정부, 미국에 “의약품 관세는 부당” 공식 의견서 제출

이에 대해 한국 보건복지부는 2025년 5월 4일, 미국 상무부에 의견서를 제출하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한국산 의약품은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하지 않으며, 오히려 공급망 안정성과 가격 접근성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 고품질 의약품 안정 공급, ▲ 바이오시밀러 경쟁력, ▲ 팬데믹 기간 협력 사례 등을 근거로 들며, 한국이 ‘우방국’임에도 동일 기준을 적용받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대책 마련에 ‘총력’

✅ 1. 셀트리온, 미국 현지 생산 확대 검토

셀트리온은 자체 생산라인을 미국 내에 구축하는 방안을 재검토 중이며, 미국 FDA 승인 공정을 고려해 유연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 2. SK바이오팜, 북미 생산기지 확보 전략

SK바이오팜은 이미 미국 내 생산기지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추진 중이며, 위탁생산(CMO)을 통한 대응 역시 고려하고 있습니다.

✅ 3. 중소 바이오기업은 ‘현지 파트너’ 확보에 집중

중견·중소 바이오 기업들은 미국 로컬 유통망 또는 공동개발 파트너를 확보함으로써, ‘미국산’ 효과를 간접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꾀하고 있습니다.


📉 미국 제약주 영향…글로벌 시장도 출렁

트럼프의 발표 직후, 미국 주요 제약사들의 주가도 다소 흔들렸습니다.
이는 보호무역 조치가 결국 전체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 Pfizer (PFE): ▼ 0.35%
  • Merck (MRK): ▼ 0.35%
  • Johnson & Johnson (JNJ): ▼ 1.12%
  • Amgen (AMGN): ▼ 1.22%

이처럼 미국 제약사들조차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뿐만 아니라 유럽·일본 기업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 바이오시밀러의 타격은 더 클 수도

특히, **한국의 전략산업인 바이오시밀러(복제 생물의약품)**가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산 바이오시밀러는 고품질에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왔습니다.
그러나 25%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성비’라는 최대 강점이 무력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셀트리온 관계자: “국내 생산에 대한 직접 규제가 강화되면, 글로벌 경쟁사 대비 가격 우위가 사라질 수 있어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 왜 지금 ‘의약품 관세’인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정치적 메시지가 강하게 담긴 수입니다.

  • 2025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국내 제조업 부흥을 강조
  • 중국과의 경제 의존도 축소
  • 유권자에게 “일자리 창출” 어필

그러나 글로벌 팬데믹 이후, 의약품은 국가 간 협력이 중요한 분야로 떠올랐다는 점에서
이번 발표가 국제 공조와 거꾸로 가는 조치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 정리하며: 제약 전쟁, 단순한 ‘관세 이슈’가 아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추진은 한국 제약·바이오 업계에 큰 숙제를 안겼습니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긴밀히 협력해 미국과의 협상 전략을 정교하게 세워야 하며, 동시에
“Made in USA” 대응 전략, 유통 파트너 확장, 현지 생산 검토와 같은 복합적인 생존 전략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번 사안은 단지 의약품의 가격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헬스케어 패권을 둘러싼 지정학적 충돌로 바라봐야 할지도 모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