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테이블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table>
<tr>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able>
<tr>은 table row의 약자다. 테이블의 행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td>는 table data의 약자다. row안에 data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th>는 table heading의 약자다. <td>요소와 비슷하게 사용되나 머리말을 나타내는 점이 다르다.
테이블의 모습이 어딘가 조금 이상하다. 테두리가 현재는 없는 상태이다. 추후에 CSS를 이용해 테두리를 넣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테이블의 열병합과 행병항은 colspan과 rowspan으로 할 수 있다.
<table>
<tr>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r>
<tr>
<td rowspan="2">데이터</td>
<td colspan="2">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able>
보다 큰 데이터를 다룰 때에는 긴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긴 테이블은 <thead>, <tbody>, <tfoot>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table>
<thead>
<tr>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h>머리말</th>
</tr>
</thead>
<tbody>
<tr>
<td rowspan="2">데이터</td>
<td colspan="2">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r>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d>데이터</td>
</tr>
</tbody>
<tfoot>
<tr>
<td>꼬리말</td>
<td>꼬리말</td>
<td>꼬리말</td>
</tr>
</tfoot>
</table>
728x90
'Programming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HTML] 009. 추가 마크업 (0) | 2019.11.08 |
---|---|
[01. HTML] 008. 폼 (0) | 2019.11.02 |
[01. HTML] 006. 이미지 (0) | 2019.10.29 |
[01. HTML] 005. 링크 (0) | 2019.10.29 |
[01. HTML] 004. 목록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