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Python

[01. Python] 004. 자료형 – 리스트(List)

728x90

 

리스트란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문자열, 숫자 등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형태이다. 아래와 같은 형태이다.

 

[1, “a”, “b”, 2, 3]

 

리스트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리스트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연산이 가능하다.

 

1) 더하기

리스트끼리 더하면 리스트는 합쳐진다.

 

a = [1, 2, 3]
b = ['a', 'b', 'c']

print(a+b)


결과 값
[1, 2, 3, 'a', 'b', 'c']

 

2) 곱하기

리스트에 상수를 곱하면 곱한 수만큼 반복한다.

 

a = [1, 2, 3]

print(a*3)


결과 값
[1, 2, 3, 1, 2, 3, 1, 2, 3]

 

그리고 리스트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이 가능하다.

 

a = [1, 2, 3, 4, 5, 6]

print(a[0])
print(a[:5])
print(a[1:4])


결과 값
1
[1, 2, 3, 4, 5]
[2, 3, 4]

 

리스트와 관련된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1) append()

append함수는 리스트에 요소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a = [1, 2, 3, 4, 5, 6]
a.append(7)

print(a)


결과 값
[1, 2, 3, 4, 5, 6, 7]

 

2) del

del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a = [1, 2, 3, 4, 5, 6]
del a[1]

print(a)


결과 값
[1, 3, 4, 5, 6]

 

3) sort()

sort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6]
a.sort()

print(a)


결과 값
[1, 2, 3, 4, 5, 6]

 

4) reverse()

reverse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6]
a.reverse()

print(a)


결과 값
[6, 4, 5, 2, 3, 1]

 

5) index()

Index는 리스트 요소의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6]

print(a.index(3))


결과 값
1

 

6) len()

len함수는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6]

print(len(a))


결과 값
6

 

7) insert()

insert함수는 특정 위치에 요소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6]
a.insert(0, 'a')

print(a)


결과 값
['a', 1, 3, 2, 5, 4, 6]

 

8) remove()

remove함수는 첫 번째로 나오는 특정 요소를 제거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1]
a.remove(1)

print(a)


결과 값
[3, 2, 5, 4, 1]

 

9) pop()

pop함수는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요소를 끄집어내는 함수이다. 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마지막 요소를 끄집어낸다.

 

a = [1, 3, 2, 5, 4, 1]
a.pop(1)

print(a)


결과 값
[1, 2, 5, 4, 1]

 

10) count()

count함수는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 요소의 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a = [1, 3, 2, 5, 4, 1]

print(a.count(1))


결과 값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