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Finance

[02. 기본적 분석] 003. 재무제표 분석(재무비율분석 – 수익성비율) 재무비율분석에 사용되는 재무비율에는 수익성비율, 효율성(활동성)비율, 유동성비율 및 지급능력비율이 있다. 수익성비율(profitability ratios)은 일정회계기간 동안 한 기업의 영업실적 또는 이익을 보여주는 비율이다. 1)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ratio, gross margin ratio)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매출총이익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매출총이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판매마진의 축소를 통한 매출증대 전략, 경쟁격화에 의한 판매가격의 하락, 원가 상승 등이 있을 수 있다. 2) 매출액순이익률(return on sales, profit margin ratio) 매출액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액 매출액순..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2. 재무제표 분석(추세분석, 구성비율분석)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방법은 크게 추세분석, 구성비율분석, 그리고 재무비율분석으로 나뉜다. 추세분석은 여러 회계기간 동안의 재무제표의 시계열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A기업의 5개년간 매출액 추세분석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억원) 10.11 12.3 14.5 15.8 17.98 전년대비 증감액(억원) +3.2 +2.19 +2.2 +1.3 +2.18 전년대비 증감률(%) +46.31 +21.66 +17.89 +8.97 +13.8 5개년 추세 100 121.66 143.42 156.28 177.84 [표 2.5] 추세분석의 예 [표 2.5]를 보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나 증감률은 다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연도별 성장률을 이용할 때는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성장률을 ..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1. 재무제표 기업을 분석하기 위해선 재무제표를 봐야 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로 구성되어 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에 관한 보고서로 자산, 부채 및 자본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예전에는 대차대조표로 불렸다. “자산 = 자본(순자산) + 부채”라는 공식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쉽게 생각하면 현재 내가 가진 돈이 100이고 은행대출을 50만큼하여 150의 가치를 지닌 아파트를 샀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자본은 100, 부채는 50, 그리고 자산은 150이 된다. 이런 방식으로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 실제로는 더 많은 항목이 있다. 개별 항목의 의미는 인.. 더보기
[01. 기초] 002. 주식의 종류 및 이벤트 투자하려는 대상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주식의 종류는 크게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뉜다. 이외에 다른 종류도 있으나 몰라도 투자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는 주식이다. 주주총회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 수만큼 투표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재산적 내용(이익·이자배당·잔여재산의 분배 등)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가 인정된 주식을 뜻하며 의결권이 없다. 그 대신에 보통주보다 배당을 조금 더 주는 경향이 있다. 보통주와 우선주는 의결권과 배당에 의해 차이가 날 뿐 본질적으로 같은 회사의 주식이다. 따라서 같이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보통주와 우선주의 비율의 괴리를 이용한 페어트레이딩을 시도할 수도 있다. [그림1.1]에서 보듯이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대략적으로 2.. 더보기
[01. 기초] 001. 주식투자란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선 주식에 대해 알아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저 찌라시 및 주변 이야기에 흔들려 뇌동매매[1]를 하곤 한다. 투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 하에 해야 하며 책임도 본인이 지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말에 의해 투자를 해서 잃으면 그 사람을 원망하게 되고 본전 생각에 점점 위험한 주식에 손대게 된다. 이는 투자가 아닌 도박, 투기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투자는 철저히 본인의 분석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원칙이 지켜진다는 전제하에 투자기간에 따라 주식투자를 나눠보면 크게 장기투자(가치투자), 단기투자(스캘핑, 데이트레이딩, 스윙매매)로 나뉜다. 장기투자는 저평가된 주식의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오랜 기간 장기 보유하는 투자이다. 따라서 가치투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반면 단기투자..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