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inance 썸네일형 리스트형 [03. 기술적 분석] 021. 엘리엇 파동이론 1938년 콜린스(C. J. Collins)에 의해 “파동이론”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파동이론의 창시자인 엘리엇(R. N. Elliott)의 원작을 기초로 하였다. 이것이 엘리엇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으로 알려지게 된 최초의 참고문헌이다. 엘리엣은 파동이론이 다우이론에 매우 필요한 보완이라고 말했으며 죽기 2년 전인 1946년에 “자연의 법칙-우주의 신비”라는 파동이론에 대한 결정판을 썼다. 역사가 깊은 엘리엇 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파동이론의 3가지 중요한 요소는 패턴(pattern), 비율(ratio), 시간(time)이다. 패턴이 이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비율은 다른 파동 사이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목표가격과 반전시점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0. 양초형차트 – 하락지속형 양초형차트에서 하락지속형 패턴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9. 양초형차트 – 상승지속형 양초형차트에서 상승지속형 패턴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8. 양초형차트 – 하락반전형 양초형차트에서 하락반전형 패턴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7. 양초형차트 – 상승반전형 양초형차트에서는 양봉, 음봉을 이용한 여러가지 패턴이 존재한다. 그 중 상승반전형 패턴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6. 양초형차트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차트는 양초형차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차트이다. 종가가 시가보다 높으면 양봉이라하고 그 반대는 음봉이라고 부른다. 몸체의 색깔은 동양에서는 양봉일 때는 빨간색, 음봉일 때는 파란색으로 표시하며 서양에서는 양봉일 때는 초록색, 음봉일 때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양초형차트를 필터링 목적으로 다른 기술적 도구들과 함께 사용하면 거래신호를 보다 빨리 포착할 수 있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5. 점도형(Point & Figure)차트 주식시장에서 사용된 첫번째 차트는 점도형(P&F)차트였다. 점도형차트는 순수한 가격움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시간은 고려하지 않는다. 점도형차트는 가격변화가 일어날 때만 기록된다. 가격변동이 심할 때는 많이 그려야 하고 변동이 적을 때는 거의 그릴 것이 없다. 반전에 필요한 칸의 수가 많을수록 차트의 민감도는 떨어진다. 즉, 장기투자자에 적합하다. 기본적으로는 3칸 반전을 많이 사용한다. 3칸 반전이라고 하는 것은 추세가 바뀌어 반대 방향으로 최소 3칸을 움직일 때, 점도형차트에 기록한다는 뜻이다. 점도형차트의 패턴도 앞서 배운 패턴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반전형, 지속형 패턴 등은 앞에서 배웠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차트와 마찬가지로 모든 기술적 분석이 적용될 수 있다. 점도형차트의 장점..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4. 지속형 패턴 – 직사각형 직사각형은 가격이 두 평행선 사이에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정체구간이 있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3. 지속형 패턴 – 쐐기형 보통 상승시장의 쐐기형은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고 하락시장의 쐐기형은 상승의 기울기를 가진다. 기존 추세의 중간에 빈번하게 나타나며, 지속형으로 분류된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12. 지속형 패턴 – 사각깃발형과 삼각깃발형 사각깃발형과 삼각깃발형은 급등과 급락이 발생한 후 일시적인 정체를 나타낸다. 이 패턴들은 단기인 1주~3주 이내에 완성된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