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Python] 004. 자료형 – 리스트(List)
리스트란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문자열, 숫자 등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형태이다. 아래와 같은 형태이다. [1, “a”, “b”, 2, 3] 리스트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리스트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연산이 가능하다. 1) 더하기 리스트끼리 더하면 리스트는 합쳐진다. a = [1, 2, 3] b = ['a', 'b', 'c'] print(a+b) 결과 값 [1, 2, 3, 'a', 'b', 'c'] 2) 곱하기 리스트에 상수를 곱하면 곱한 수만큼 반복한다. a = [1, 2, 3] print(a*3) 결과 값 [1, 2, 3, 1, 2, 3, 1, 2, 3] 그리고 리스트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이 가능하다. a = [1, 2, 3, 4, ..
더보기
[01. Python] 003. 자료형 – 문자열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숫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이다. 문자열을 만들기 위해서는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로 감싸면 된다. Multiline으로 문자를 입력하고 싶다면 큰 따옴표 세개(“””)나 작은 따옴표 세개(‘’‘)를 사용하면 된다. a = "hi, there" b = """hi, there""" print(a, type(a)) print(b, type(b)) 결과 값 hi, there hi, there 다음으로 문자열 연산에 대해 알아보자. 1) 더하기 a = "hi, " b = "there" print(a+b) 결과 값 hi, there 2) 곱하기 a = "hi " print(a*3) 결과 값 hi hi hi 문자열 인덱싱(Ind..
더보기
[01. Python] 002. 자료형 – 숫자
파이썬의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자료형이 있는지 아는 것이 기초이다. 숫자형 자료부터 살펴보자 숫자형에는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 등이 있다. 주로 사용하는 숫자형은 정수(Integer)와 실수(Floating Point)이다. 정수는 우리가 흔히 쓰는 숫자이다. a = 1 #정수 print(a, type(a)) 결과 값 1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이다. a = 1.5 #실수 print(a, type(a)) 결과 값 1.5 8진수와 16진수는 잘 사용하지 않으니 다음과 같이 표현 방식만 알고 넘어가자. 8진수(숫자0과 소문자 o로 시작): 0o111 16진수(숫자0과 소문자 x로 시작): 0x102 숫자형의 연산은 +, -, *, **, //, % 등이 있다..
더보기
[03. MongoDB] 005. Query
Query 연산자를 통해 조금 더 자세한 검색을 할 수 있다. 실습을 위해 inventory라는 collection을 만들어 다음의 document를 입력해보자. [ { "_id": 1, "item": { "name": "ab", "code": "123" }, "qty": 15, "tags": [ "A", "B", "C" ], “stock”: 100 }, { "_id": 2, "item": { "name": "cd", "code": "123" }, "qty": 20, "tags": [ "B" ] , “stock”: 30 }, { "_id": 3, "item": { "name": "ij", "code": "456" }, "qty": 25, "tags": [ "A", "B" ] , “stock”: 50 },..
더보기
[03. MongoDB] 003. Collection
MongoDB Shell에서 Collection과 관련된 명령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b.createCollection(): Collection을 생성 db.createCollection( , { capped: , autoIndexId: , size: , max: , storageEngine: , validator: , validationLevel: , validationAction: , indexOptionDefaults: , viewOn: , // Added in MongoDB 3.4 pipeline: , // Added in MongoDB 3.4 collation: , // Added in MongoDB 3.4 writeConcern: } ) - capped: capped collect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