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엘리엇 파동이론

[03. 기술적 분석] 026. 엘리엇 파동이론의 의의 원래 파동이론은 주식시장 평균지수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므로 상품시장이나 거래량이 적은 개별주식에는 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파동이론의 3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패턴이고 그 다음이 비율, 시간 순이다. 그리고 엘리엇 파동이론과 함께 다른 기술적 분석이 같이 사용된다면 그 효용은 배가 될 것이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5. 엘리엇 파동이론 – 피보나치(Fibonacci) 수 엘리엇은 파동원리의 수학적 기초가 13세기 레오나르도 피보나치(Leonardo Fibonacci)에 의해 발견된 수열이었다는 것을 “자연의 법칙(Nature’s Law)애서 언급했다. 이 피보나치의 수와 엘리엇 파동이론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자 1) 피보나치 피보나치의 수란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과 같이 연속된 2수의 합이 그 다음 수와 같은 것이다. 처음 4개의 숫자 다음부터는 다음 숫자 대비 직전 숫자의 비율이 거의 0.618이다. 예를 들면 13/21는 0.619이다. 그리고 반대의 비율은 거의 1.618이다. 예를 들면 21/13은 1.615이다. 그리고 하나 건너뛴 숫자간의 비율은 2.618에 근접하고, 그 반대는 0.382에 근접..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4. 엘리엇 파동이론 – 경로(Channeling) 엘리엇은 목표가격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격경로를 사용하였다. 상승추세가 형성되었을 때 초기 추세경로는 파동 1과 파동2의 저점을 따라 상승추세선을 그린다. 파동 1의 고점위에 수평적 추세경로선을 그린다. 상승추세는 이 2개의 경계선 안에 머물게 된다. 만약 파동 3이 위쪽 경로선 위로 돌파하게 되면 경로선은 파동 1의 고점과 파동2의 저점을 따라 다시 그려야 한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3. 엘리엇 파동이론 – 교번의 원칙(The Rule of Alternation) 교번의 원칙이란 시장이 연속해서 두 번 같은 패턴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형태의 저점이 지난 번에 나타났다면 이번에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떤 패턴이 앞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조정파동 2가 단순한 a-b-c 패턴이었다면 파동 4는 삼각형과 같은 복잡한 패턴이 되는 것이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2. 엘리엇 파동이론 – 조정파동 조정파동은 5개가 아닌 3개의 파동으로 나타나며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지그재그(zig-zags) 주추세에 역행하는 3파 조정패턴이며 강세장에서는 일시적 하락, 약세장에서는 일시적 상승을 나타낸다. 지그재그는 5-3-5 패턴을 따른다. 2) 평면(flats) 일반적으로 평면은 조정보다는 오히려 강화에 가까우며, 강세시장에서는 힘의 신호로 간주된다. 지그재그 조정과 다른 점은 평명은 3-3-5 패턴을 따른다는 것이다. 3) 삼각형(triangles) 삼각형은 주로 네 번째 파동에서 나타나며, 주추세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마지막 이동 앞에서 나타난다. 조정파동에서는 a-b-c 패턴의 b에서 나타날 수 있다. 삼각형은 보통 지속형을 의미한다. 삼각형이 5개의 파동이 아닌 3개의 파동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21. 엘리엇 파동이론 1938년 콜린스(C. J. Collins)에 의해 “파동이론”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파동이론의 창시자인 엘리엇(R. N. Elliott)의 원작을 기초로 하였다. 이것이 엘리엇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으로 알려지게 된 최초의 참고문헌이다. 엘리엣은 파동이론이 다우이론에 매우 필요한 보완이라고 말했으며 죽기 2년 전인 1946년에 “자연의 법칙-우주의 신비”라는 파동이론에 대한 결정판을 썼다. 역사가 깊은 엘리엇 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파동이론의 3가지 중요한 요소는 패턴(pattern), 비율(ratio), 시간(time)이다. 패턴이 이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비율은 다른 파동 사이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목표가격과 반전시점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