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Finance/Stock

[03. 기술적 분석] 009. 지속형 패턴 – 대칭삼각형 대칭삼각형은 기존 추세의 재개를 나타낸다. 직전의 추세가 상승추세였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직전의 추세가 하락추세였다면 반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8. 반전형 패턴 – 원형 바닥형과 V자형 원형 바닥형은 장기적으로 나타나는데 주로 주봉이나 월봉에서 관측된다. 바닥이 오래 지속될수록 중요성은 커진다. V자형(역 V자형)은 순식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에 포착하기 힘들다.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며 추세에 역행한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7. 반전형 패턴 – 2중 천정형과 2중 바닥형 3중 천정형과 3중 바닥형보다 흔한 반전형이 2중 천정형과 2중 바닥형이다. 3중형 패턴과 다른 점은 봉우리가 두 개인 것이다. 첫 번째 봉우리에서는 거래량이 증가하고 두 번째 봉우리에서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6. 반전형 패턴 – 3중 천정형과 3중 바닥형 3중 천정형은 머리어깨형과 비슷하다. 하지만 세 봉우리와 골짜기들의 수준이 거의 같은 높이에 있다는 점이 다르다. 거래량은 연속적인 봉우리에서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돌파점에서는 반드시 증가한다. 3중 바닥형은 3중 천정형의 반대이다. 상향돌파에서의 거래량이 천정형보다 중요하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5. 반전형 패턴 – 머리어깨형과 역머리어깨형 반전형 패턴 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머리어깨형과 역머리어깨형에 대해 알아보자. 머리어깨형은 왼쪽 어깨와 오른쪽 어깨가 같은 높이에 있으며 머리에서의 거래량이 생각보다 적다. 오른쪽 어깨에서 목선을 하향 돌파하면서 패턴이 완성된다. 목선까지 반등이 가능하나 상향 돌파하지는 못한다. 역머리어깨형은 머리어깨형의 반대이다. 다만 차이점은 오른쪽 어깨 이후 목선을 상향 돌파할 때의 거래량 증가이다. 바닥에서 상승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필수적이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4. 추세의 기본개념 추세는 시장이 움직이는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움직인다. 추세는 상승, 하락, 그리고 수평 세 방향을 가진다. 그리고 기간으로는 크게 주추세, 중추세, 소추세로 나뉜다. 다우이론에서는 1년 이상 지속되는 추세를 주추세, 3주~3개월까지의 추세는 중추세, 그리고 2주 또는 3주이내의 추세를 소추세로 정의했다. 이는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조금씩 다르게 생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세추종매매는 실제로 몇 개월간 지속되는 중추세에 초점을 맞춘다. 소추세는 매매시점을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시 말하면 상승중추세에서의 단기하락은 매수기회로 이용될 수 있다. 상승추세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저점이 있어야 하며, 두번째 저점은 반드시 첫번째 저점보..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3. 차트의 종류 차트는 크게 선차트, 점도형차트, 봉차트로 구분된다. 선차트는 주식의 종가만을 이용하여 그린 차트로 아주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다. 점도형(Point & Figure)차트는 사소한 주가의 변화와 시간개념을 무시하고 의미 있는 중요한 변화만을 표시하여 주추세를 파악하고자 하는 차트이다. X열은 가격의 상승을 나타내고 O열은 가격의 하락을 나타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봉차트의 미국식 버전이다.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봉차트는 일본식 봉차트이며 양초형차트라고 불린다.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2. 다우이론 다우이론은 기술적 분석의 고전이다. 1882년 찰스 다우(Charlse Dow)와 그의 파트너 에드워드 존스(Edward Jones)는 다우존스 앤 컴퍼니(Dow Johns & Company)를 설립했다. 다우는 주식시장의 변동과 주가분석, 전망 등에 관해 월스트리트 저널에 사설로 발표하였다. 사후에 이 사설들이 체계화된 이론으로 정리되어 1932년 로버트 레아(Robert Rhea)에 의해 이란 책을 출판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다우이론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평균값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이는 기술적 이론의 기본전제 중 하나이다. 물론 지진 등 자연재해는 예측하지 못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거의 즉각적으로 가격움직임에 반영된다. 2) 시장은 3개의 추세를 가진다. 다우는 각각의 연속적인 상승고.. 더보기
[03. 기술적 분석] 001. 기술적 분석의 배경 기술적 분석은 미래의 가격추세를 예측하기 위해 차트를 통하여 시장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것이다. 기본적 분석을 통한 투자할 기업을 선정했다면 기술적 분석을 통해 매수 타이밍을 잡는 것이 활용할 수도 있고 오로지 기술적 분석만을 통해 주식을 매매할 수도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이 생각하는 기술적 분석의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시장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시장에 모든 기본적인 것, 정치적인 것, 심리적인 것 등이 시장가격에 반영된다고 믿는다. 일반적으로 가격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에는 신경쓰지 않는다. 왜냐하면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다. 그리고 기술적 분석가들은 가격차트와 기술적 지표들을 연구함으로써 시장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12. 밸류에이션의 한계점 절대가치평가와 상대가치평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런 밸류에이션에는 한계점이 있다. 절대가치평가 방법의 경우는 미래의 재무제표를 추정하기 어렵다. 추정하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고 전문가가 아닌 이상 업종의 환경이나 기업의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힘들다. 많은 요소를 고려하여 나름 정확하게 추정했다고 하더라도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설령 정확히 예측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주가는 기업의 가치에 바로 수렴하지 않는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시장에서 매일 거래되는 주식은 기업가치 이외에도 많은 것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절대적인 평가 방법으로는 다소 부족하다. 기업의 M&A를 위해서는 시장에 거래되는 가격이 없기 때문에 이..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