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Finance/Stock

[02. 기본적 분석] 011. 밸류에이션 – 상대가치평가 방법(PER, PBR, PSR, EV/EBITDA) 절대가치평가 방법은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개인들이 분석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반면 상대가치평가 방법(Multiple Method)은 분석대상기업과 비교 가능한 기업들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절대가치평가 방법에 비해 편리하다. 상대가치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네 단계를 거친다. 첫째, 분석대상기업의 가치평가에 가장 적합한 평가지표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결정한 평가 지표를 통해 분석대상기업과 비교할 대상기업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비교 대상기업의 평가 지표를 계산한다. 넷째, 비교 대상기업의 지표를 바탕으로 분석대상기업의 가치를 추정한다. 상대가치평가 방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PER(Price/Earning Ratio)..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10. 밸류에이션 – 절대가치평가 방법(RIM) 잔여이익모형(Residual Income Model)은 기업의 자본가치를 산출하여 기업의 가치를 계산한다. 자본의 가치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자기자본, 미래의 순이익에서 미래의 자기자본비용을 차감한 초과이익 그리고 일정 년도 이후의 미래 초과이익의 현재가치로 산출한 잔여가치로 분류한다. 초과이익t = 순이익t - 장부가치t-1 × Ke = (ROE - Ke) × 장부가치t-1 여기서, EP는 초과이익, RV는 잔여가치, Ke 는 자기자본비용, T는 예측기간의 최종 년도이다. 초과이익과 잔여가치의 계산에 있어서 ROE가 변수이므로 기업의 ROE의 추정이 매우 중요하다.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9. 밸류에이션 – 절대가치평가 방법(APV) 조종현가법(Adjusted Present Value)은 기업을 무부채기업이라고 가정하고 잉여현금흐름(FCF)을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KU)으로 할인한 값과 부채사용효과를 타인자본비용(Kd)으로 할인한 금액을 더하여 기업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EV = 무부채 기업가치(VU) + 부채사용효과(이자비용 법인세 차감효과 등) 여기서, TV는 영구가치, T는 예측기간의 최종 년도이다.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KU)을 구하기 위해서는 하마다 공식[1]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βL는 부채사용기업의 베타, βU 는 무부채기업의 베타, t는 한계법인세율, D는 타인자본, E는 자기자본이다. 무부채기업의 베타를 구한 뒤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2]을 이용해 무부채기업의 자기자본비용(KU)을 구할 수..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8. 밸류에이션 – 절대가치평가 방법(DCF)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은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여 기업의 가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도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가치(Enterprise Value)는 크게 예측기간의 가치와 영구가치(Terminal Value)를 합한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는 예측기간의 최종 년도이다. 예측기간의 가치는 가까운 미래기간 동안에 영업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영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현재가치를 의미한다. 실무적으로는 주로 5년~10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영구가치란, 예측기간 이후부터 발생할 영구적인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의미한다. 우선 잉여현금흐름(FCF)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FCF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OCF, Oper..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7. 재무제표 분석 시 유의사항 및 한계점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첫째, 지속가능이익(sustainable income)을 추정해야 한다. 기업이 앞으로 중단하는 사업분야가 있다면 그 부분의 수익은 미래 추정실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그리고 일시적인 비정상적인 이익 또한 제외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회계정책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동일한 회계기준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끼리 비교해야 한다. 둘째, 회계기준 범위 내에서 기업들이 서로 다른 대체적 회계처리방법을 적용하면 비교가능성과 이익의 품질을 낮추게 된다. 예를 들어, 재고자산 평가방법에 있어 한 기업은 선입선출법(FIFO)[1]을 다른 기업은 평균법(average)을 사용하면 동등비교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분식회계를 조심해야 한다. 대표적인 분식회..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6. 재무제표 분석(재무비율분석 – 장기지급능력비율) 장기지급능력비율(solvency ratios)은 기업의 장기적인 부채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따라서 안정성비율(safety ratios)이라고도 한다. 주로 장기채권자와 주주들이 이 비율에 관심이 있을 것이다. 1) 부채비율(debt to equity ratio) 부채비율 = 부채 / 자기자본 부채비율은 자기자본에 대한 부채의 비율로 계산되며, 이는 재무레버리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100% 이하이면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2) 현금부채보상비율(cash debt coverage ratio) 현금부채보상비율 = 영업현금흐름 / 평균부채 현금부채보상비율은 영업활동에서 조달된 현금으로 장∙단기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산업평균과 최근 추세를 동시에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5. 재무제표 분석(재무비율분석 – 유동성비율) 유동성비율(liquidity ratios)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측정해서 보여주는 지표이다. 1) 유동비율(current ratio)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유동비율은 기업은 단기부채상환능력 평가 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200% 이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잔액을 운전자본(working capital)이라고 하며 금액기준의 유동성을 보여준다. 유동비율은 연말 한 시점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구매의 지연 또는 유동부채의 일시상환 등으로 의도적인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너무 높은 유동비율은 자산운용의 비효율성을 나타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유동비율과 운전자본은 동시에 검토해야 한다. 2) 당좌비율(quick ratio) 당좌비율 = 당좌자산유동부채 = (유동자산 ..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4. 재무제표 분석(재무비율분석 – 효율성비율) 효율성비율(efficiency ratios) 또는 활동성비율(activity ratios)은 자산의 전체 혹은 특정 자산그룹 또는 자기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1) 총자산회전율(asset turnover ratio)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평균총자산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자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는 투입된 총자산 1원당 얼마의 매출을 달성했는지 보여준다. 2) 자기자본회전율(equity turnover ratio) 자기자본회전율= 매출액 / 평균자기자본 자기자본회전율은 자기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준다. 자기자본수익률의 계산에서와는 달리 자기자본은 자본총계에서 우선주자본금을 별도로 차감하지 않는다..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3. 재무제표 분석(재무비율분석 – 수익성비율) 재무비율분석에 사용되는 재무비율에는 수익성비율, 효율성(활동성)비율, 유동성비율 및 지급능력비율이 있다. 수익성비율(profitability ratios)은 일정회계기간 동안 한 기업의 영업실적 또는 이익을 보여주는 비율이다. 1)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ratio, gross margin ratio)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매출총이익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매출총이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판매마진의 축소를 통한 매출증대 전략, 경쟁격화에 의한 판매가격의 하락, 원가 상승 등이 있을 수 있다. 2) 매출액순이익률(return on sales, profit margin ratio) 매출액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액 매출액순.. 더보기
[02. 기본적 분석] 002. 재무제표 분석(추세분석, 구성비율분석)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방법은 크게 추세분석, 구성비율분석, 그리고 재무비율분석으로 나뉜다. 추세분석은 여러 회계기간 동안의 재무제표의 시계열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A기업의 5개년간 매출액 추세분석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억원) 10.11 12.3 14.5 15.8 17.98 전년대비 증감액(억원) +3.2 +2.19 +2.2 +1.3 +2.18 전년대비 증감률(%) +46.31 +21.66 +17.89 +8.97 +13.8 5개년 추세 100 121.66 143.42 156.28 177.84 [표 2.5] 추세분석의 예 [표 2.5]를 보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나 증감률은 다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연도별 성장률을 이용할 때는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성장률을 .. 더보기
728x90